오른쪽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어깨 회전근개 파열 및 충돌증후군과 같이 회전근개(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에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어깨 관절은 다른 관절에 비해 가동성은 크지만 안정성은 떨어집니다.
이러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회전근개 4개의 근육 및 힘줄을 너무 쉽게 사용하여 파열 및 손상으로 이어집니다.
팔을 어깨 높이 정도로 들어올리면 심한 어깨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어깨 둘레 근개 파열 증상
가장 주된 증상은 팔을 들어올릴 때에 나타나는 오른쪽 어깨 통증입니다.
근력 저하나 뻐근해야간 통증을 수반하는 것도 있습니다.
Droparm sign에서 수동으로 팔을 올린 상태에서 천천히 내렸을 때 갑자기 팔이 떨어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무거운 물건을 갖기 어렵고, 오른쪽 어깨의 통증이 있다고 오른쪽에 눕기 어렵습니다.
회전 근개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은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외상, 퇴행성 변화, 지나친 사용 회전 근개 주변 조직의 혈액 순환 장애 등이 있습니다.
파열의 크기와 증상 환자의 연령/직업, 통증의 정도 등에 의해서 치료 방법이 바뀌기도 합니다.
또 선수처럼 필요한 어깨 관절의 가동성에 의해서 재활 병원의 단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주사 치료, 도수 치료 등이 열리고 체외 충격파 치료를 통해서 혈액 순환 증진으로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 방법으로는 관절경적 회전 근개 봉합술과 상부 관절낭 재건술 등이 있습니다.
상부 관절낭 재건술은 봉합이 어려울 정도로 파열이 심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진피 또는 자기건을 이식하여 파열된 회전근개에 대처합니다.
팔뼈인 상완골의 위치 조정으로 2차 관절염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어깨 둘레 근개 파열 수술이나 치료를 통해 통증이 완화된다고 해서 기능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정상적인 어깨 관절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재활과 운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손상이나 통증, 수술 등으로 견관절 고정기간이 길어지고 콜라겐 섬유 유착, 원활하지 않은 윤활액 등으로 관절 구축이 심해집니다.
단계에 따른 재활병원을 통해 탄력성 회복, 순환 증진, 관절 가동성 회복이 필요합니다.
관절이 굳어진 후 재활을 시작하려고 하면 더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듭니다.
증상에 따라 다르지만 재활은 곧 시작됩니다.
초기 재활치료를 통해 근육, 근막 수축 및 이완, 혈액순환 증진 등으로 회복, 통증, 부기 조절 등에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단계에 따라서는 초기의 다음과 같은 운동을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습니다.
가볍게 팔꿈치를 구부리고 펴기를 반복합니다.
적당한 강도의 탄력 볼을 쥐었다 폈다를 반복합니다.
가슴을 벌리면서 어깨를 내리고 견갑골을 후방 하단으로 모읍니다.
어깨 올린 후 천천히 내려드릴게요.건강한 견관절을 위해 다음과 같은 극하근 견갑하근 운동이 있습니다.
어깨가 정상적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팔뼈와 어깨뼈 사이에 어느 정도 이격이 필요합니다.
극하근 및 견갑하근은 익골의 앞과 뒤에 붙어 팔골을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긴장하고 짧아진 경우 정상적인 어깨 움직임이 어려워 오른쪽 어깨 통증이나 질환 발병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재활이나 운동은 어깨 통증이나 기능 회복에 매우 중요하지만 임의로 하는 것보다는 먼저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선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