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당고기 삼시오 결속기를 읽으면서 ‘해’라는 단어의 의미가 눈에 들어왔다.

환당고기 삼신오제본기를 읽으면 하백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
그리고 사해의 우두머리라는 말이 있는데 우리는 보통 바다를 바다로 이해한다.
그러나 나는 바다라는 단어가 현재 바다의 의미로 고대 문학에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황하 물의 흐름이 시작되는 중국의 칭하이 해 근처에는 해(海)자가 포함된 지명이 많다고 합니다.
사해(四海)라는 말은 중국과 관련해서도 자주 들리는데, 아시다시피 중국의 북쪽이나 서쪽에는 바다가 없습니다.
쿤룬 산맥, 엔젤 산맥, 타클라마칸 사막, 고비 사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은 인간과 동물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인류의 4대 문명은 모두 강둑에서 일어났다.
황하, 나일강,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갠지스강, 인더스강 등. 생존과 생명에 필요한 물이 풍부한 곳에 사람과 소가 함께 모일 것이다.
즉,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바다는 오늘날의 바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해안, 특히 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을 의미한다.

한국의 고대사를 보면 오늘날 강이라는 말은 잘 쓰지 않는다.
이전에는 강(Jiang)이라는 글자가 양쯔강만을 의미하는 글자였다.
그냥 물이라고 했어요. 살수, 패수, 마자수, 암록수, 아리수 등등. 그러다가 문명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구가 늘었고 사물이 일반화되고 물질화되는 과정에서 강은 단순히 양쯔강을 의미하는 문자가 아니라 모든 강( 강)은 문자로 쓰여졌음에 틀림없다.
해(海)도 고대에는 물이 있어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을 나타내는 한자로 쓰였다.

고대에 강이 양쯔강의 한 글자였듯이 하도 황하의 한 글자였다.
공무도하가라는 옛 시가 있는데 그 안의 흐름이 그냥 물일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한자로 쓰여진 고전을 읽어본 사람들은 모든 물에 이름이 있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사수, 위수, 제수, 한수 등등. 거기에서 숫자를 빼면 사, 위, 제, 한 등이 된다.
또한 그때까지 고대인들이 어떤 사물이나 지형을 일반화할 수 없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학용품이라는 단어에는 붓, 벼루, 종이, 먹 등이 포함되지만 붓이 일반어일 경우에는 여우털솔, 족제비솔, 닭꼬리솔 등과 같이 특정한 대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종이, 먹, 벼루도 마찬가지다.
한지, 종이, 종이, 종이, 종이, 두꺼운 종이, 얇은 종이, 색지, 백지 등…

언제부터 세상의 모든 강을 일컬어 ‘갱’이라는 단어가 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즘은 강의 정확한 이름을 모를 때 그냥 ‘갱’이라고 합니다.
그냥 강. 그런데 고대에 강이라는 말은 양쯔강만을 의미했는데… 이런 관점에서 보면 바다가 어느 지역을 가리키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해’라는 말은 고대에 바다를 가리킨다.
그렇게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십시오. 그렇게 생각한다면 광개토호태왕 비문의 신년사는 대한해협이 아닐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