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배우기! 민화

그림 배우기! 민화 1

민화 그리는 것을 배운다!

민화 배운다? 정말? 민화 뜻:조선시대에 실용을 목적으로 이름 없는 사람이 그린 그림으로 속화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서민층에게 유행하여 산수, 화조 등의 정통 회화를 모방하여 생활공간 장식으로 이용하였다.
소박하고 익살스러운 화풍이 특징이다.

요고는 지금까지 민화 그리는 것을 정말 해보고 싶었어요. 민화를 배우는 것에 도전했어요.민화 자격증을 따려고 한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장르를 경험하면 작품 세계가 훨씬 확장되는 것 같아요.

그럼 요고가 어떻게 민화를 배우기 시작했는지 하나하나 보여드릴 터이니 눈을 크게 뜨고 따라오세요.:)

  1. 화실풍경 2. 선생의 시범 3. 모란도를 그리는 화실풍경 작업상
그림 배우기! 민화 2

요고가 수강하게 된 동양화화실 작업 테이블의 모습입니다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자의 시간에 맞춰가면 이렇게 진행중인 그림 재료들이 테이블 위에 세팅되어 있습니다.

그림의 보관

그림 배우기! 민화 3

작업중인 화판은 화실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수강생들의 작품을 많이 감상하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선생의 본보기

그림 배우기! 민화 4
그림 배우기! 민화 5

인천의 절반이 완료된 이합창호지를 붙인 화판!
이것은 화실에서 따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그 위에 스케치를 하면 종이가 무너질 염려가 있어서 선생님이 어떻게 스케치를 하면 좋을지 친절하게 설명해 주었습니다.
처음 민화를 배울 때는 선생님을 정말 자주 만나야 할 것 같아요.모란 도화 트레싱에 스케치

그림 배우기! 민화 6

피오니를 사랑하는 요고는 모단도부터 그리기로 했어요. 다양한도안중에하나를선택해서자세히관찰하면서천천히그려가면되니까어렵지않습니다.
한지를 보호하기 위해 화판에 스케치를 하지 않고 트레싱 용지에 그려 옮깁니다.

먹이 만들기

그림 배우기! 민화 7
그림 배우기! 민화 8

스케치 1지를 뒤집어 파스텔 통심 연필로 그림 있는 부분 뒷면에 전체를 까맣게 칠했어요. 먹는걸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진하고 수성이 아니어서 종이에 그렇게 안 좋대요. 그래서 직접 먹을 걸 만들었어요.

전사 작업

그림 배우기! 민화 9
그림 배우기! 민화 10

연필로 짙게 칠한 종이를 다시 뒤집어서 화판에 붙이고 연필 스케치선을 따라 전사 작업을 시작했죠. 볼펜을 꾹꾹 눌러 그리면 인쇄가 되는 법!

전사 완료

그림 배우기! 민화 11

직접 만든 먹종이를 맞혀 그렸더니 이렇게 깔끔한 모란 스케치가 캔버스에 옮겨졌네요!
민화를 배우는 과정에서 이런 준비 작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어요.

선필 연습

그림 배우기! 민화 12

작은 붓에 먹을 묻혀서 일정한 두께의 선을 그려야 하기 때문에 농도나 각도 등을 연습할 시간을 충분히 가졌습니다 곧바로 멋진 작품에 돌입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기초 과정부터 차근차근 익힐 수 있어 더욱 유익했습니다.

먹으로 오려내기

그림 배우기! 민화 13
그림 배우기! 민화 14